본문 바로가기

EBTC 소식/ Hot News

기장의 내일- 부산 변방의 천지개벽'복합특구'로 거듭난다(2005.11.3)

   
8만명 수용을 목표로 공사가 한창인 부산 기장군의 정관신도시 건설 현장. 현재 대지조성 진척률은 60%, 2008년 완공 예정이다.

 

가까운 미래인 2010년. 부산 기장군의 달라진 풍광은 상상만으로도 유쾌해진다. 부산~경남~울산을 관통하는 교통요충지, 최첨단 산업단지들, 자연친화적 신도시 그리고 초거대 관광타운. 이것이 바로 미래 기장의 모습이다.

현재 부산의 개발지도는 기장군을 중심으로 한 동부산권으로 급격히 옮겨가고 있다. 지난 1995년 부산권역으로 편입된 이후에도 줄곧 변방으로 취급된 기장군. 부산 전체면적의 30%를 차지함에도 인구 8만명에 불과한 개발 사각지대가 포화된 부산의 발전 대안으로 웅장한 날갯짓을 시작한 것이다.

#'꿈의 도시' 만들 개발프로젝트

동부산권개발은 부산의 미래를 담보할 3대 밀레니엄사업 가운데 핵심 사업이다. 지난 2000년을 전후해 시작된 개발사업의 진척 속도는 다소 더뎠다. 하지만 개발의 족쇄였던 그린벨트와 701만평의 보전산지가 최근에 해제됨에 따라 각종 개발프로젝트들이 본궤도를 타고 있다.

개발프로젝트 중 최고 역점 사업이 천혜의 자연환경을 자원화하는 동부산관광단지 조성이다. 총사업비 1조4150억원을 투입, 기장읍 시랑리~연화리 일대 110만평을 해안관광거점지역으로 육성한다. 관광단지는 미래 기장을 이끌 핵심 성장동력으로 여겨진다. 단지 내에는 해변공원, 휴양시설, 호텔, 골프장 등이 들어선다. 또 디즈니랜드나 유니버셜 스튜디오 같은 외국의 초거대 테마파크 유치도 거론되고 있다. 관광단지가  

   
조성되면 생산유발 2조8000억원, 7만2000명의 고용창출과 함께 부산을 국제적인 관광명소로 부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주거 공간에도 일대 변화가 예고된다. 정관면 일원 126만평 부지에 2만8000세대가 들어설 정관신도시가 그것이다. 현재 대지 조성률은 60%. 규모면에서 해운대신도시보다 크다. 전체 용적률 169%로 쾌적성을 높였고 자연친화 도시를 표명하듯 높은 녹지비율과 9만여평의 공원이 들어선다. 또 총 17개 초·중·고교 등 배후시설도 함께 준비 중이다.

내년 하반기부터 일반인에 분양이 시작되고 2008년 10월께 입주가 이뤄진다. 대한주택공사에 따르면 원가연동제를 적용, 분양가는 500만원 초반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관신도시 외에도 기장군에는 일광·내리·고촌 등 3개 택지지구가 2009년까지 추가로 개발돼 모두 2만6000가구가 더 입주한다. 이들 대단위 주거단지가 조성되면 기장군의 인구는 25만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

중소형 산업공단들도 잇달아 들어서 부산·울산·경남을 연결하는 동남권 산업벨트의 중추적 역할을 맡게 된다. 이중 달산리 일원 36만평 규모의 정관지방산업단지가 조성 속도가 가장 빨라 내년 연말께 준공된다. 철강·섬유·화학·목재 등의 업종이 입주를 기다리고 있다.

그밖에 자동차부품단지 역할을 할 장안첨단산업단지(40만평), 대선주조 및 식음료 업체들이 들어설 기륭지방산업단지(3만9000평)가 2007년 하반기부터 가동에 들어간다. 바이오·제약관련 기업과 연구소가 들어설 삼성지구산업단지(20만평)는 타당성 심의를 거쳐 승인절차를 기다리고 있다. 이들 산업단지가 개발되면 자족적 산업기반이 확보돼 고용·소득증대 등 안정적인 지역경제발전에 큰 힘이 될 것이다.

장안읍 좌동리 일대에 원자력의학원과 달음산에 영화타운 건립도 준비중이다. 동남아의 '암치료 허브' 기능을 맡을 원자력의학원은 낙후된 지역의료의 갈증을 해소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2008년까지 13만평 규모의 군민체육공원과 월드컵빌리지 등도 조성, 스포츠 도시로의 변모도 시도되고 있다.



   
#개발의 빛과 그림자

개발 홍수 속에 가장 우려되는 것이 난개발이다. 지난 9월에 해제된 보전산지 701만평은 기장군 그린벨트 해제지역 내 보전녹지 1827만1000여평의 38.4%에 해당한다.

해제된 보전산지 대부분 동부산개발예정지가 포함돼 있어 환경훼손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환경단체들은 '부산의 허파'인 기장군의 녹지 보존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해당 지역은 1971년부터 그린벨트·자연녹지·보전산지 등 3중 규제로 묶여 있어 여지껏 개발의 손길을 피해갈 수 있었다. 하지만 가용 용지가 부족한 부산시와 관내 개발을 추진하는 기장군청의 입장에서 보전산지 해제는 동부산권개발의 기폭제가 되는 필수적인 절차이다. 또 각종 규제로 재산권행사를 하지 못했던 주민들은 그간 소외에 대한 보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부산환경운동연합의 관계자는 "동부산권개발 자체를 막자는 것이 아니라, 합리적인 절차를 통해 환경파괴를 최소화하고 개발이익이 주민들에게 돌아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부산환경운동연합은 현재 기장군의 보전산지 해제 및 동부산권 개발계획에 관해 행정절차 과정 등의 정보공개를 부산시에 청구한 상태다.

글 = 김성한기자 shkim0@kookje.co.kr